티스토리 뷰

맞춤법 나들이

맞춤법 나들이_'실증' 과 '싫증'

해보면 알수있지 2019. 8. 26. 08:44

맞춤법 나들이_'실증' 과 '싫증'


오늘은 실증 과 싫증 의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증 or 싫증

소비자들이 실증 낼 것을 대비해

싫은 생각이나 느낌은 실증 이 아니라 싫증 이다. 실증 은 실제로 증명함을 뜻합니다.

 

 

 

 

 

정리

    싫증 - 싫은 생각이나 느낌

    실증 - 실제로 증명함을 뜻함.

 

 

 

 

 

맞춤법 표기

소비자들이 실증 낼 것을 대비해” (X)

소비자들이 싫증 낼 것을 대비해 (O)”

 

 

 

 

 

예시

싫증

소비자들이 싫증 낼 것을 대비해

반복되는 일상에 싫증이 날 때

싫증이 나다

싫증을 내다

그는 매일 반복되는 생활에 싫증을 느끼고 있다.

성수는 서울로 돌아가야 좋은 일이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진작부터 전방에 대해 싫증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자는 어떻게 된 셈인지 똑같은 소리를 똑같게 싫증도 안 내고 되풀이만 하고 있었다.

싫증을 느끼다

그 아이는 내가 이제껏 본 아이 중에서 가장 싫증이 나는 아이였다.

스케치 여행 다니다가 잠깐 들렀어. 이 근처는 매력 있는 고장이거든. 아무리 자주 와도 싫증이 안 날 것 같아.

자기 자신이 싫어지면서 죽음을 향한 투쟁에 나른한 싫증이 왔다.

그는 벌써 그녀에게 싫증을 냈다.

 

 

 

 

 

실증

실증주의에 입각한 연구

실증된 사실

전투에 있어서 지형이 유리하다는 게 얼마나 유리한 조건인가가 실증됐다.

부끄러움을 느낀다는 것은 인간이 한낱 동물이 아니고 깊고 높은 인격의 차원 속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실증하는 것이다.

이 책의 저술자는 실증주의 사관에서 역사를 보고 있다.

근대 비평은 실증주의, 합리주의 등에 의한 객관적 비평에 치중하였다.

베르그송에 있어서는 근대 실증 과학의 정신과 철학의 정신이 혼연일체가 되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유력한 실증은 조부가 생전에 금고 열쇠를 내맡겼다는 사실과 유서이었다.

실증적 방법

실증적 연구

실증적인 기풍

 

지금까지 실증 과 싫증 의 맞춤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