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맞춤법 나들이

맞춤법 나들이_'어따' 와 '얻다'

해보면 알수있지 2019. 10. 4. 09:11

맞춤법 나들이_'어따' 와 '얻다'


오늘은 어따 와 얻다 의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따 와 얻다 이렇게 두 단어만 보게 되면 뭐가 뭔지 잘 감이 안 오실 수도 있는데요. 아래의 예문처럼 어따 대고 반말이야와 같은 표현으로 일상생활에서 어따 라는 말을 자주 쓰곤 하는데요

 

 


 

 

사실 이런 말은 구어체에서만 쓰는 경우가 많다 보니 말을 그대로 옮겨 쓸 때는 어떤 것이 올바른 것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어따 와 얻다 중 어느 것이 맞춤법에 맞는 것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따 대고 반말이야그냥 문장만 보면 틀린 것 하나 없이 보이지만 과연 이 표현이 맞춤법에 맞을까요?

 

 

 

 

 

어따 or 얻다

어따 대고 반말이야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맞춤법이록 해서 화제가 되었던 말이 바로 어따 입니다.

어디에다 가 줄어든 얻다 가 맞는 말입니다.

 

 

 

 

 

정리

    얻다 - 어디에다 가 줄어든 말

 

맞춤법 표기

어따 대고 반말이야” (X)

얻다 대고 반말이야” (O)

 

 

 

 

 

예시

얻다

얻다 대고 반말이야

얻다 두었는지 모르겠다.

나는 할머니가 돈을 얻다 감춰 두나를 알고 있었다.

얼굴만은 얻다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것 같았다.

얻다 대고 삿대질이야

지금까지 어따 와 얻다 의 맞춤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맞춤법 나들이] - 맞춤법 나들이_'언치다' 와 '얹히다'

[맞춤법 나들이] - 맞춤법 나들이_'얹쳐살다' 와 '얹혀살다'

[맞춤법 나들이] - 맞춤법 나들이_'언감생신' 과 '언감생심'


댓글